본문 바로가기

라이프/교육

수학 잘 하는 아이의 특징

반응형

 

 

 

수학.

 

다른 교과목과는 다르게 수학을 못하는 건 당연한 것이며, 잘하는 게 이상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수과자'나 '수영자'같은 말은 존재하지 않는데, 특이하게도 '수포자'란 말은 흔히 쓰는 말이며 심지어 티브이 방송에서도 접할 수 있죠.

 

그렇다면 왜 수학을 어려워 할까요? 수학이라는 교과목이 어려운 건 맞지만, 수학이 어려워서라기보단 수학을 대하는 태도에 더 문제가 있는 거 같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태도의 차이가 있는 것일까요?

 

아이들을 가르치는 일을 하다보니 수학을 잘하는 아이와 그렇지 않은 아이가 가지는 태도의 차이를 알 수 있게 되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학을 잘 하는 아이들의 특징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볼게요. 그리고 수학을 잘하는 아이와 수학을 못하는 아이의 수학을 대하는 태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볼게요.

 

 

 

 

 

 

첫째, 수학에 대한 두려움이 없다.

수학 점수가 높아서 가지는 자신감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처음 보는 문제를 접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접했을 때 두려움을 가지지 않더라고요. 그냥 일단 풀어봅니다. 정답이 맞건 틀리건, 시간이 오래 걸리건 짧게 걸리건. 

'자꾸 생각하고 연구하면 이 문제를 풀 수 있게 될 거야'란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죠.

 

반면에 수학을 못하는 아이들은, 문제를 보는 순간 이미 포기해 버립니다. 잠재적으로 '난 수학을 못하니까'란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이죠. '난 노력해봐야 안돼, 난 수학이 싫어'라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둘째, 수학을 열공한다.

퍼듀 대학교의 퍼트리셔 라이한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수학은 IQ가 아닌 얼마나 열심히 하느냐에 따라 실력이 달라진다고 합니다. 

 

제가 현장에서 아이들을 가르쳐 보아도 라이한 교수의 연구가 틀리지 않다는 걸 느낍니다. 수학을 잘하는 아이들은 일단 열심히 합니다. 그래서 잘하는 겁니다. 선천적으로 타고난 머리만 가지고 잘할 수 있는 교과목이 아니란 거죠. 

 

학창 시절에 수학을 정말 잘하는 친구가 있었습니다. 국어, 영어, 사회, 과학 등의 교과목들은 전교 하위권인데, 놀랍게도 수학만은 전교 1등인 아이였어요.

 

"야, 넌 어떻게 수학을 그렇게 잘하냐?" 부럽기도 하고 질투도 나서 물어본 적이 있는데요.

"그냥 재밌어. 그래서 그냥 풀어보는 거야. 한 문제 푸는데 하루가 걸릴 때도 있고 이틀이 걸릴때도 있고..."

 

이 친구의 대답에 수학을 잘하는 방법과 특징이 들어있다는 걸 아시겠죠?

 

 

 

 

정리해서 얘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수학을 잘하는 방법 혹은 수학을 잘하는 아이들의 특징은 '수학에 대한 흥미를 느끼며 문제를 끝까지 풀 수 있는 끈기가 있어야 한다'입니다. 간단해 보이지만 간단하지 않죠? 간단했다면 수포자란 말이 생기지도 않았겠죠. 포기만 하지 않는다면 수학은 정복할 수 있는 교과목입니다. 끝까지 물고 늘어지다 보면 길이 보일 겁니다. 파이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