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ISSUE

반려동물 보유세 (일명 강아지 세금) 찬반 논란?!

반응형

이른바 '강아지 세금'으로 불리는 반려동물 보유세가 논의되고 있다고 합니다.

동물학대 근절과 복지 실현 차원에서 도입 여부를 논의한다고 하는데요. 

실효성 여부에 대한 찬반도 팽팽하다고 합니다.

 

 

 

 

 

강아지나 고양이를 좋아해서 입양했다가 귀찮거나 마음에 안든다고 유기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던데요.

동물도 생명인데 입양을 했으면 책임을 져야 하는게 당연한 거 아닐까요?

그래서 이 제도 꼭 도입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반려동물 보유세는 지난 14일 농림축산식품부의 '2020~2024년 동물복지 종합계획'에 따라 도입을 검토한다고 하는데요. 이 제도는 강아지 등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에 대해 일정 금액의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입니다.

 

반려동물 보유세 논의는 유기동물 관리와 동물 입양 등 동물 복지와 맞물려 진행될 전망이라고 합니다.

동물을 함부로 취급하는 행태를 근절하는 차원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개인들이 세금을 부담하고, 정부가 이를 동물복지 비용에 충당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다만 '강아지 세금' 논의를 대하는 애견인들의 반응은 엇갈린다고 합니다.

동물을 키운다는 사실만으로 동물복지 비용을 지불하는 게 적절한가에 대한 반발과 더불어 반려동물 보유세가 도리어 유기 동물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답니다.

 

 

 

 

 

유기견이 늘어날꺼라는 의견은 공감이 안돼네요.

보유세가 얼마나 할지 모르겠으나, 그 정도의 돈을 지불하지 못할 거라면 처음부터 반려동물을 키우지 말았어야 하는 거 아닐까요?

 

애견인이라면 반려동물 보유세에 찬성 해야 하는 거 아닌가 싶은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