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info

24절기 중 입춘은 몇번째 일까?

반응형

1년을 12절기와 12중기로 나누고 이를 24절기라고 합니다.

절기는 한 달 중 월초에 해당하며, 중기는 월중에 해당하는데요.

 

태양력에 의하면 절기는 매월 4~8일 사이에 오고, 중기는 19~23일 사이에 옵니다.

 

또한 24절기는 계절을 세분한 것인데요.

대략 15일 간격으로 나타낸 달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절기를 사용한 이유는 절기를 통하여 계절의 변화나 농사일, 날씨의 변화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봄 ( Spring )

 

 

입춘(음력 1월의 절기) - 양력 2월 4일 , 봄의 시작

 

우수(음력 1월의 중기) - 양력 2월 19일, 비가 내리고 싹이 틈

 

경칩(음력 2월의 절기) - 양력 3월 5일,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깸

 

춘분(음력 2월의 중기) - 양력 3월 20일, 낮이 길어지기 시작

 

청명(음력 3월의 절기) - 양력 4월 4일, 봄 농사 준비

 

곡우(음력 3월의 중기) - 양력 4월 19일, 농사비가 내림

 

 

 

 

 

 

 

여름 ( Summer )

 

 

입하(음력 4월의 절기) - 양력 5월 5일, 여름의 시작

 

소만(음력 4월의 중기) - 양력 5월 20일, 본격적인 농사의 시작

 

망종(음력 5월의 절기) - 양력 6월 5일, 곡식의 씨를 뿌리는 날

 

하지(음력 5월의 중기) - 양력 6월 21일, 1년중 낮이 가장 긴 날

 

소서(음력 6월의 절기) - 양력 7월 7일, 여름 더위가 시작하는 날

 

대서(음력 6월의 중기) - 양력 7월 22일, 더위가 가장 심한 시기

 

 

 

 

 

 

 

 가을 ( Autumn )

 

 

입추(음력 7월의 절기) - 양력 8월 7일, 가을의 시작

 

처서(음력 7월의 중기) - 양력 8월 23일, 일교차가 커짐

 

백로(음력 8월의 절기) - 양력 9월 7일, 이슬이 내리기 시작

 

추분(음력 8월의 중기) - 양력 9월 22일, 밤이 길어지는 시기

 

한로(음력 9월의 절기) - 양력 10월 8일, 찬 이슬이 맺힘

 

상강(음력 9월의 중기) - 양력 10월 23일, 서리가 내리기 시작

 

 

 

 

 

 

 

겨울 ( Winter )

 

 

입동(음력 10월의 절기) - 양력 11월 7일, 겨울의 시작

 

소설(음력 10월의 중기) - 양력 11월 22일, 얼음이 얼기 시작

 

대설(음력 11월의 절기) - 양력 12월 7일, 눈이 많이 내림

 

동지(음력 11월의 중기) - 양력 12월 21일, 연중 밤이 가장 긴 때

 

소한(음력 12월 절기) - 양력 1월 6일, 겨울 중 가장 추운 시기

 

대한(음력 12월 중기) - 양력 1월 20일, 겨울 추위의 절정기

 

 

 

 

 

 

 

 

 

우리나라에서 사용해 오던 절기(24절기는 중국 기준)

 

 

설날 - 1월 25일, 한 해의 건강과 풍요를 기원하는 우리나라 최대 명절

 

정월대보름 - 2월 8일, 새해 첫 보름날로써 농사의 시작일을 의미하는 날.

 

한식 - 4월 5일,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 국가 행사로 종묘와 능원에 제향을 올리고, 각 가정에서도 성묘

 

단오 - 6월 25일, 설날, 추석과 더불어 우리나라 3대 명절

 

▲초복 - 7월15일, 삼복의 하나로 여름의 시초를 의미

 

▲중복 - 7월 26일, 삼복의 하나로 더위가 절정으로 최고조에 달하는 시기

 

▲말복 - 8월 15일, 삼복의 하나로 더위의 끝

 

유두절 - 8월 4일, 삼복 사이에 있으며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고 가져간 음식을 먹으면 여름에 질병에 물리치고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함

 

칠석 - 8월 25일, 견우와 직녀가 1년에 한 번 만나는 날

 

추석 - 9월30일 ~ 10월 4일, 중추절 또는 한가위라고 불리며 햅쌀로 송편을 빚어 차례를 지내고 성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