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는 1월 15일부터 조회 가능해졌는데요.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는 직장인이 올해 받을 수 있는 소득세액 공제 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제 신고서를 내려받을 수 있는데요. 이 서비스는 국세청 홈텍스에서 확인할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란?
연말 정산 간소화 서비스는 근로자들이 연말정산을 간편히 할 수 있도록 시작돼었는데요. 영수증 발급기관이 전산 파일로 제출한 소득세액공제 증명서류를 국세청 홈텍스를 이용해 한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올해부터 바뀐 점은?
생산직 근로자 초과 근로수당 비과세 기준 확대 | |
의료비 세액 공제 대상 확대 | |
주택 자금 공제 요건 완화 | - 장기 주택 저당 차입금 이자 상환액 소득공제 완화 |
월세액 세액 공재 | |
도서, 공연 지출 신용카드 소득공제 | |
중소기업 취업자 감면 | - 감면 대상자(장애인)범위 확대 |
기부금 세액 공제 | - 기부금 세액 공제 확대 |
연말정산 간소화에 조회되지 않는 자료는 어떻게 공제를 받아야 하나?
해당기관에서 직접 서류를 발급받아 회사에 제출해야 합니다. 영수증 발급기관에서 국세청에 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조회가 되지 않는데요. 그래서 증빙 자료를 직접 발급받아 제출해야 합니다.
연말정산 후 최종적으로 내야 할 세액은 어떻게 결정되나?
연말 정산할 때 기준이 되는 금액은 총급여액이 아닌 '과세 표준'입니다.
과세 표준은 총급여액에서 소득 공제 항목인 주택 마련 저축액·부양가족 공제액 등을 뺀 것으로 과세 표준에 6~38%의 세율을 곱해 세액을 산출하고 여기서 세액 공제 항목인 의료비·교육비 등을 빼면 나오는 것이 바로 결정세액인데요.
근로자는 최종적으로 결정세액을 납부하면 됩니다.
반응형
'라이프 >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상위 노출을 위한 키워드 검색 사이트 "BLACK KIWI(블랙키위)" (4) | 2020.01.20 |
---|---|
장애인 연금법에 따라 19만여명 매월 30만원씩 받는다. (0) | 2020.01.19 |
주말 가족 여행 추천 [ 대관령 눈꽃축제 ] (2) | 2020.01.17 |
젊음을 유지하고 싶으신가요? (15) | 2020.01.13 |
수면 무호흡, 그 원인은 ?? (13) | 2020.01.12 |